○ 전례시작 10분전 : 로비 모임(빈 향로, 향합, 초, 화덕, 숯불 집게 등 확인 - 장갑 착용)
○ 위치
○ 시종1은 마이크를 준비하고, 초는 불 꺼진 채로 서 있는다.
1. 불 축복 : 시작기도 후 화덕의 불을 축복하심.
2. 부활 초 예식 : 신부님께서 부활 초를 장식하셔야 하기에 시종은 예식서와 마이크를 계속 준비.
3. 부활 초 점화 : 화덕에서 불 점화하여 부활초 켜심(시종2는 부활초 붙잡음)
→ 향 복사는 화덕의 숯을 향로에 담음 → 향, 향합은 향 축성 받음 → 행렬 준비(심지 지참)
4. 행렬 (순서 : 향 ← 신부님(부활초) ← 초(2) ← 시종 ← 예절지기)
첫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성당 입구
두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성당 중간. 촛불 분배. 대기복사가 신자들에게 분배
세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제대 앞. 성당 불켬.
세번의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위치에서 향잡이는 멈추고 돌아서서 부활초에 분향(3번씩 3회).
5. 부활 찬송 : 세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후 신부님은 부활촛대에 부활초를 꽂고 내려와 절함.
제대 |
절 하는 위치 : 초1 - 향 - 시종1 - [신부님] - 시종2 - 예절지기 - 초2
절한 후 : 신부님은 제단 위로 올라가심 - 시종:제 위치 - 초:퇴장 - 향, 향합:신부님 옆(향 축성)
신부님은 부활찬송 예식서와 부활초에 분향 하신 후 부활찬송을 시작하신다(분향 후 향복사 퇴장).
6. 말씀의 전례 : 구약의 4번째 독서와 화답송 후 초1(or 예절지기)은 나와서 부활초에서 불을 당겨 제대초를 켠다.
제대 초 켜지면(시종은 장궤), 신부님은 대영광송 시작(시작 후 30초간 종, 딸랑이, 오르간 반주)
→ (3초간 멈추었다가) 오르간 연주하며 성가대에서 "땅에서는~" 부터 대영광송 계속.
7. 복음서 분향 : 향은 서간 봉독 때 숯불 피움. 서간 봉독 후 향 축성 받음(독서대 옆에 선다)
(초 복사는 나오지 않음) → 복음서 분향 → (복음 봉독 후) 향 복사 퇴장.
8. 성수 축복 : 축복 후 신부님이 성수그릇에 성수 담으심(또는 시종2가 담는다)
9. 세례서약 갱신식 : (성수 축복 후) 시종은 부활초에서 불을 당겨 봉사자들에게 전달한다.
세례서약 갱신 후, 교우들에게 성수 뿌림(시종1은 성수그릇 들고 신부님을 따른다).
10. 예물 분향 : (향복사는 성수 뿌릴 때 또는 보편지향기도 시작하면 숯불 피운다) - 성지주일과 동일
손 씻는 예식 전 향 축성 → 신부님 제대 분향 → 신부님께 향 드림 → 신자들 분향
11. 성찬 기도 : (향복사는 예물분향 퇴장 후 곧바로 숯불 피움) - 성지주일과 동일
'거룩하시도다' 시작하면 향잡이와 초(2명)는 제대 앞으로 나간다(향은 장궤하고 향가루 넣음).
12. 영성체 : 영성체송 할 때 나와서 시종 뒤에서 영성체 한 후 제의방으로 퇴장한다.
13. 부활계란 축성 : (영성체 후 기도 시작하면) 계란수레가 앞으로 나온다(중앙 통로).
'영성체 후 기도' 후 부활계란 축성한다는 안내 할 때 시종1은 성수그릇을 손에 든다.
해설 끝나면 신부님의 오른편을 따른다(부활계란 축성 후 성수그릇 원위치하고 제자리에 선다).
(파견성가 시작하면 부활계란 수레 퇴장한다)
14. 퇴장 : 강복 전에 촛불 켠다(향과 예절지기는 맨손으로 퇴장).
파견성가 번호 안내할 때, 제의방의 초와 향복사는 밖으로 나가 퇴장행렬 준비.
퇴장 순서 : 초(2) ← 향(2) ← 시종(2) ← 신부님(시종만 제의방으로 들어간다)
'복사 전례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(성주간) [주님수난 성금요일] - 4인복사 (0) | 2025.04.14 |
---|---|
6. (성주간) [주님만찬 성목요일] - 7인복사 (0) | 2024.12.23 |
5. (성주간) [주님수난 성지주일] - 7인복사 (1) | 2024.12.23 |
4. (예식서) 주님 봉헌 축일 (초 축복과 행렬) (0) | 2024.12.23 |
3-1. (예식서) 주님 성탄 대축일 밤 미사 (사제용) (1) | 2024.12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