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 전례시작 10분전 : 로비 모임(빈 향로, 향합, 초, 화덕, 숯불 집게 등 확인 - 장갑 착용) 


 ○ 위치

 ○ 시종1은 마이크를 준비하고, 초는 불 꺼진 채로 서 있는다.


1. 불 축복 : 시작기도 후 화덕의 불을 축복하심. 
2. 부활 초 예식 : 신부님께서 부활 초를 장식하셔야 하기에 시종은 예식서와 마이크를 계속 준비.


3. 부활 초 점화 : 화덕에서 불 점화하여 부활초 켜심(시종2는 부활초 붙잡음) 
     → 향 복사는 화덕의 숯을 향로에 담음 → 향, 향합은 향 축성 받음 → 행렬 준비(심지 지참)


4. 행렬 (순서 : 향 ← 신부님(부활초) ← 초(2) ← 시종 ← 예절지기)
     첫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성당 입구

     두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성당 중간. 촛불 분배. 대기복사가 신자들에게 분배

     세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: 제대 앞. 성당 불켬.


     세번의 "그리스도 우리의 빛" 위치에서 향잡이는 멈추고 돌아서서 부활초에 분향(3번씩 3회).


5. 부활 찬송 : 세번째 "그리스도 우리의 빛" 후 신부님은 부활촛대에 부활초를 꽂고 내려와 절함.

제대

     절 하는 위치 : 초1 - 향 - 시종1 - [신부님] - 시종2 - 예절지기 - 초2


     절한 후 : 신부님은 제단 위로 올라가심 - 시종:제 위치 - 초:퇴장 - 향, 향합:신부님 옆(향 축성)
     신부님은 부활찬송 예식서와 부활초에 분향 하신 후 부활찬송을 시작하신다(분향 후 향복사 퇴장).


6. 말씀의 전례 : 구약의 4번째 독서와 화답송 후 초1(or 예절지기)은 나와서 부활초에서 불을 당겨 제대초를 켠다. 
     제대 초 켜지면(시종은 장궤), 신부님은 대영광송 시작(시작 후 30초간 종, 딸랑이, 오르간 반주)
       → (3초간 멈추었다가) 오르간 연주하며 성가대에서 "땅에서는~" 부터 대영광송 계속.


7. 복음서 분향 : 향은 서간 봉독 때 숯불 피움. 서간 봉독 후 향 축성 받음(독서대 옆에 선다) 
     (초 복사는 나오지 않음) → 복음서 분향 → (복음 봉독 후) 향 복사 퇴장.


8. 성수 축복 : 축복 후 신부님이 성수그릇에 성수 담으심(또는 시종2가 담는다)


9. 세례서약 갱신식 : (성수 축복 후) 시종은 부활초에서 불을 당겨 봉사자들에게 전달한다.
     세례서약 갱신 후, 교우들에게 성수 뿌림(시종1은 성수그릇 들고 신부님을 따른다).


10. 예물 분향 : (향복사는 성수 뿌릴 때 또는 보편지향기도 시작하면 숯불 피운다) - 성지주일과 동일
     손 씻는 예식 전 향 축성 → 신부님 제대 분향 → 신부님께 향 드림 → 신자들 분향 


11. 성찬 기도 : (향복사는 예물분향 퇴장 후 곧바로 숯불 피움) - 성지주일과 동일
     '거룩하시도다' 시작하면 향잡이와 초(2명)는 제대 앞으로 나간다(향은 장궤하고 향가루 넣음).


12. 영성체 : 영성체송 할 때 나와서 시종 뒤에서 영성체 한 후 제의방으로 퇴장한다.


13. 부활계란 축성 : (영성체 후 기도 시작하면) 계란수레가 앞으로 나온다(중앙 통로).
     '영성체 후 기도' 후 부활계란 축성한다는 안내 할 때 시종1은 성수그릇을 손에 든다.
      해설 끝나면 신부님의 오른편을 따른다(부활계란 축성 후 성수그릇 원위치하고 제자리에 선다).
     (파견성가 시작하면 부활계란 수레 퇴장한다)

 

14. 퇴장 : 강복 전에 촛불 켠다(향과 예절지기는 맨손으로 퇴장). 
     파견성가 번호 안내할 때, 제의방의 초와 향복사는 밖으로 나가 퇴장행렬 준비.
     퇴장 순서 : 초(2) ← 향(2) ← 시종(2) ← 신부님(시종만 제의방으로 들어간다)

 ○ 전례시작 전 : 제대 위에 아무 것도 없고 십자가도 가리워져 있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예식시간이 되면 모두 빈 손으로 입당한다.(성가 없음)

 

1. 입당 순서 : 초복사(2명, 촛대없음) ← 시종복사(2명) ← 신부님
    초, 시종 - 제대 앞에 양 옆으로 벌려선다.(신부님 부복 또는 장궤) 


신부님 일어서면 초복사는 방석을 치운다.
    * 예식순서 : 본기도 → 1·2독서 → 수난복음 → 강론 → 보편지향기도 → 십자가 경배


2. 수난복음 : 신부님 위치는 제대 앞(시종은 양 옆에 선다 - 소복사가 마이크)


3. 보편지향기도 : 신부님이 바침(제대 앞)


4. 십자가 경배
    보편지향기도 끝나면 바로, 신부님은 제의방에서 천으로 감싼 십자가를 들고 나온다.
    초복사는 신부님과 함께 제의실로 들어가서 준비된 초에 불을 붙인 다음 제대 앞으로 나온다.
    † 보라 십자나무, 여기 세상 구원이 달렸네(3번)   ◎ 모두 와서 경배하세(3번)
    신부님이 십자가를 제대 앞에 놓으면, 초를 양 옆에 놓고 십자가 경배 후 자리에 앉는다.


5. 제대 꾸미기

    신자들의 십자가 경배 중간무렵 신부님은 수난감실로 성체 모시러 간다.(초복사가 따라 나선다)

    시종은 제의실에서 제대보, 성체포, 예식서가 담긴 쟁반, 초 한쌍을 들고 나와 제대를 차린다.


6. 영성체
    수난감실에 도착하면, 초①은 어깨보를 신부님에게 씌우고 초②와 함께 촛대를 들고 신부님과 함께 제대로 돌아와서 초를 제대 위에 놓는다.


    초①은 촛대 놓고 신부님 뒤로 가서 어깨보를 받아 제의방에 놓고 제자리로 간다.
    영성체가 끝나면 신부님은 성체를 제의방에 모신다 - 복사는 제의방에 초 준비

 


7. 백성을 위한 기도
    신부님은 백성을 위한 기도를 바친 후 파견성가 없이 퇴장한다.


    신부님께서 제대를 다시 벗기시면 - 복사들 도움 

※ 퇴장 행렬 없음

 ○ 전례시작 10분전 : 향은 숯불 피우고, 시종은 제대 촛불 켜고 로비로 나간다. 

 

1. 입당 순서 : 향 ← 십자가 ← 초(2) ← 시종(2) ← 예절지기(향합) ← 신부님
     향 - 제대에 절하고 주수상 앞에 선다
     십자가, 초 - 제대 앞에 잠시(1초간) 서서 경의를 표한 후 제의방으로 퇴장
     시종 - 제대에 절하고 제대 옆에 마주보고 선다(대복사 앞:종&딱딱이, 소복사 앞:딸랑이 종)
     예절지기 - 제대에 절하고 향 옆에 선다


2. 제대 분향 : 성지주일과 동일


3. 자비송(주님 자비를 베푸소서) 끝 부분에 시종들은 장궤하고 종 칠 준비한다.
     신부님께서 대영광송을 선창하면, 종(대복사)과 딸랑이(소복사)와 오르간이 약 30초간 치고 연주한다.
     종 친 후 일어나서 제자리(신부님 뒤편)(반주 없이 대영광송 계속)


4. 복음서 분향 2독서 시작 시 향복사(숯불 피움)와 초복사 준비
     성가대에서 복음환호송 시작할 때 초는 독서대 양 옆에 서고, 향과 향합은 신부님께 축성 받고
     초복사 옆에 선다(향-신부님의 오른편, 향합-신부님의 왼편)
     '~가 전한 거룩한 복음입니다' 후 복음서 분향(복음 봉독 후 초, 향복사 제의실로 퇴장).


5. 세족례 : 강론 후 바로 시작. 강론 후 신부님은 제의방으로 가셔서 제의 벗으심.
    ① 시종1 : 제단 아래로 내려가 의자 배치를 돕는다. (발의 물기를 닦도록 수건을 드리고, 닦은 수건을 수거한다.)
    ② 시종2 : 제단 아래로 내려가 의자 배치를 돕는다. (대야의 물을 양동이에 버리고 앞쪽으로 전달한다.)
    ③ 향1 : 주전자 2개 들고 나온다. (발에 물을 따른다. 물이 부족하기 전에 주전자를 교체한다.)
    ④ 향2 : 대야 3개와 양동이를 들고 나온다. (전달받은 대야를 다음 사람 앞에 놓는다.)

    십자가  : 수건(12장)을 들고 나온다. (새수건을 들고 대기하고 수거한 수건을 모아둔다.)
     세족례 후 시종은 의자 원위치를 도운 후 제자리, 나머지 복사는 지참물 들고 제의방 퇴장.
     신부님은 제의방으로 들어가셔서 손 씻고 제의를 입으신 후 나오심.

 

6. 예물 분향 : 성지주일과 동일(세족례 후 곧바로 숯불 피운다)


7. 성찬 기도 : 성지주일과 동일(향, 초 복사), 시종1은 종이 아니라 딱딱이를 친다.

 

8. 영성체 : 영성체송 할 때 나와서 시종 뒤에서 영성체 한 후 제의방으로 퇴장한다.

 

9. 성체 거동 제의방에 들어간 즉시 행렬(수난감실) 준비 - 숯불 피우고, 촛불 붙임.
     '영성체 후 기도' 끝나면 제대 아래에 나열한다(시종1은 견포 들고, 시종2는 방석 신부님 위치) .

     향, 향합은 신부님께 향 축성 받고, 신부님께서 성체께 3번씩 3회 분향(끝나면 시종1은 견포 드림).

 

     신부님께서 견포 입고 성체 모시러 올라갈 때, 복사들은 행렬 대열로 나열한다.

     행렬 순서 : 십자가 ← 초(2) ← 시종(2) ← 향합 ← 향 ← 신부님 ← 성가대 (이동 중 성당 內 3번 분향-제대 앞, 중간, 성당 입구 문)


수난감실에 도착하면,

십자가는 오른쪽 거치대에, 초는 감실 옆에 놓고, 시종1은 견포를 받는다.

향과 향합은 신부님께 향 축성 받음(신부님의 분향).


신부님을 따라 성당으로 올라가서, 제대를 치우고(제대보, 종…), 십자가와 성모상 가린다 - 퇴장
※ 퇴장 행렬 없음

미사 전 준비 사항

<제의실> 홍색 정식제의, 행렬용 십자가, 향로, 향합, 행렬용 촛대, 사제용 나뭇가지, 미사 때 여분 숯과 초

<주수상> 성작 성합 일체, 주수병, 물과 수건,

<제 대> 미사경본, 성주간 예식서, 미사준비 일체

<독서대> 수난복음용 책 1

<행렬 장소> 탁자, 성수(그릇, ), 독경대, 성주간 예식서, 마이크

<복 사> 향로, 예절지기, 시종, 초복사, 십자가(장식)

<해설대 및 해설자> 매일미사 책,해설집

<성당 로비> 행렬 전 복음, 독서대, 마이크, 성수그릇

 

 ○ 전례시작 10분전 : 향은 숯불 피우고, 시종은 제대 촛불 켜고 로비로 나간다. 

 

1. 시작예식

1) 입당 전 해설

☞해설 : 오늘은주님 수난 성지 주일입니다.

            ~

            모두 일어나서 뒤를 향하여 주십시오.

            (성가대에서 호산나! 다윗의 자손을 노래하며 행렬한다.)

 

2) 사제의 입당

(사제는 향 축성 후, 교우들이 모인 장소로 이동 한다.)

교우들 모인 장소로 이동 순서 : 향 ← 십자가 ← 초(2) ← 시종(2) ← 예절지기(향합) ← 사제

 

3) 인사

✞  사랑을 베푸시는 하느님 아버지와

    ~

   주님의 부활과 그 생명에 동참하도록 합시다.

 

☞해설 : 사제는 나뭇가지를 축성하십니다. 사제가 축복하는 이 나뭇가지는 생명과 희망을 상징합니다. 모두 나뭇가지를 어깨 위로 들어주십시오.

 

(사제는 손을 모으고 아래 기도를 바친다.)

기도합시다.

   ~

  성자께서는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나이다.

아 멘.

(사제는 신자들 사이를 지나면서 아무 말 없이 나뭇가지에 성수를 뿌린다.)

시종1은 성수그릇을 들고 신부님 옆을 따른다.

 

☞해설 : 사제는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에 관한 복음을 낭독하십니다.

 

4) 복음

✞ 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.

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.

 

✞ 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. 11,1-10<또는 요한 12,12-16>

주님, 영광 받으소서.

(사제는 복음서에 분향한다.)

 

5) 입당행렬

친애하는 형제 여러분,

우리도 예수님을 환영하던 군중을 본받아 평화의 행렬을 합시다.

 

☞해설 : 렬 순서는 복사단, 성가대, 신자들 순서입니다.

(향 ← 십자가 ← 초(2) ← 시종(2) ← 예절지기(향합) ← 사제 순으로 행렬한다.)

사제가 제단에 향을 드릴 때까지, 성가대는 계속 성가를 부른다.

 

본기도부터 미사가 시작된다.

 

2. 말씀전례

(이후 대축일미사와 동일)

 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