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 전례시작 10분전 : 향은 숯불 피우고, 시종은 제대 촛불 켜고 로비로 나간다. 

 

1. 입당 순서 : 향 ← 십자가 ← 초(2) ← 시종(2) ← 예절지기(향합) ← 신부님
     향 - 제대에 절하고 주수상 앞에 선다
     십자가, 초 - 제대 앞에 잠시(1초간) 서서 경의를 표한 후 제의방으로 퇴장
     시종 - 제대에 절하고 제대 옆에 마주보고 선다(대복사 앞:종&딱딱이, 소복사 앞:딸랑이 종)
     예절지기 - 제대에 절하고 향 옆에 선다


2. 제대 분향 : 성지주일과 동일


3. 자비송(주님 자비를 베푸소서) 끝 부분에 시종들은 장궤하고 종 칠 준비한다.
     신부님께서 대영광송을 선창하면, 종(대복사)과 딸랑이(소복사)와 오르간이 약 30초간 치고 연주한다.
     종 친 후 일어나서 제자리(신부님 뒤편)(반주 없이 대영광송 계속)


4. 복음서 분향 2독서 시작 시 향복사(숯불 피움)와 초복사 준비
     성가대에서 복음환호송 시작할 때 초는 독서대 양 옆에 서고, 향과 향합은 신부님께 축성 받고
     초복사 옆에 선다(향-신부님의 오른편, 향합-신부님의 왼편)
     '~가 전한 거룩한 복음입니다' 후 복음서 분향(복음 봉독 후 초, 향복사 제의실로 퇴장).


5. 세족례 : 강론 후 바로 시작. 강론 후 신부님은 제의방으로 가셔서 제의 벗으심.
    ① 시종1 : 제단 아래로 내려가 의자 배치를 돕는다. (발의 물기를 닦도록 수건을 드리고, 닦은 수건을 수거한다.)
    ② 시종2 : 제단 아래로 내려가 의자 배치를 돕는다. (대야의 물을 양동이에 버리고 앞쪽으로 전달한다.)
    ③ 향1 : 주전자 2개 들고 나온다. (발에 물을 따른다. 물이 부족하기 전에 주전자를 교체한다.)
    ④ 향2 : 대야 3개와 양동이를 들고 나온다. (전달받은 대야를 다음 사람 앞에 놓는다.)

    십자가  : 수건(12장)을 들고 나온다. (새수건을 들고 대기하고 수거한 수건을 모아둔다.)
     세족례 후 시종은 의자 원위치를 도운 후 제자리, 나머지 복사는 지참물 들고 제의방 퇴장.
     신부님은 제의방으로 들어가셔서 손 씻고 제의를 입으신 후 나오심.

 

6. 예물 분향 : 성지주일과 동일(세족례 후 곧바로 숯불 피운다)


7. 성찬 기도 : 성지주일과 동일(향, 초 복사), 시종1은 종이 아니라 딱딱이를 친다.

 

8. 영성체 : 영성체송 할 때 나와서 시종 뒤에서 영성체 한 후 제의방으로 퇴장한다.

 

9. 성체 거동 제의방에 들어간 즉시 행렬(수난감실) 준비 - 숯불 피우고, 촛불 붙임.
     '영성체 후 기도' 끝나면 제대 아래에 나열한다(시종1은 견포 들고, 시종2는 방석 신부님 위치) .

     향, 향합은 신부님께 향 축성 받고, 신부님께서 성체께 3번씩 3회 분향(끝나면 시종1은 견포 드림).

 

     신부님께서 견포 입고 성체 모시러 올라갈 때, 복사들은 행렬 대열로 나열한다.

     행렬 순서 : 십자가 ← 초(2) ← 시종(2) ← 향합 ← 향 ← 신부님 ← 성가대 (이동 중 성당 內 3번 분향-제대 앞, 중간, 성당 입구 문)


수난감실에 도착하면,

십자가는 오른쪽 거치대에, 초는 감실 옆에 놓고, 시종1은 견포를 받는다.

향과 향합은 신부님께 향 축성 받음(신부님의 분향).


신부님을 따라 성당으로 올라가서, 제대를 치우고(제대보, 종…), 십자가와 성모상 가린다 - 퇴장
※ 퇴장 행렬 없음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