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입당
∘ 미사 시작 10분전까지 숯불 지피고, 시종은 제대 초 켜지 않고 입당행렬 위치로(미리 위치).
∘ 준비 위치(초 복사 : 촛대 없음)


∘ 순서 : 입당기도 → 참회기도 → 자비송(성가대) → 행렬 전 기도
1) 행렬 전 기도가 끝나면 시종1‧2는 뒤로 물러서고 향과 향합은 신부님께 다가가 향을 피운다.
2) 향복사가 향과 향합을 들고 예절지기가 붉은 초를 들면 시종2는 예절지기에게 촛불 붙여준다.
3) 입당성가 시작되면 아기예수의 행렬이 출발한다.
∘ 입당 순서 : 어린이 복사단 ← 향(향합) ← 초(1‧2) ← 시종(1‧2) ← 예절지기(초) ← 신부님(아기 예수)
∘ 제대 앞에 도착한 위치

∘ 신부님이 아기 예수님을 안치하시면, 예절지기는 붉은 초를 구유 옆에 놓는다.

∘ 구유 축성 기도 : 시종1은 마이크, 시종2는 예절서를 든다.
∘ 구유 축성 : 구유 축성 기도 후 향과 예절지기는 신부님께 향 축성 받고, 초2는 성수그릇을 시종2에게 주고 시종2는 성수그릇을 들고 향 옆에 선다.
신부님이 성수를 뿌리고 분향한다. (순서 : 향 축성 → 성수뿌림 → 분향)



∘ <축복기도>와 <아기예수 경배 전 기도> 끝나고, 신부님께서 아기예수님 경배 → 무릎 꿇고 묵상 → 제단에 올라가 자리에 앉으시면, 시종1‧2 - 초1‧2 - 향‧예절지기 순으로 구유 경배한다.
1) 시종1‧2 : 예절서, 방석, 마이크를 제의방에 갖다놓고 제대 초를 켠 후 자리에 앉는다.
2) 초1‧2 : 성수그릇을 들고 제의방으로 퇴장한다. (모든 복사 퇴장 시 해설대 옆 문 사용)
3) 향, 예절지기 : 향과 향합을 들고 제의방으로 퇴장한다. (퇴장 후 곧바로 숯불 준비)
∘ 제대 분향 : 신자들의 구유경배 예절이 끝날 무렵, 향과 예절지기는 신부님께 향 축성 받고 뒤로 2보 물러선 후, 신부님이 제대분향 후 향 받아 퇴장한다.
2. 말씀의 전례
∘ (1독서 후 숯불 피움) 복음 환호송(알렐루야) 할 때 초1‧2는 촛대(촛불 켬) 들고 독서대 양편에 서고, 향과 예절지기는 신부님께 나아가 향 축성 받고 향은 신부님 오른편에(예절지기는 왼편에) 선다.
∘ 신부님이 “...에 의한 거룩한 복음입니다” 후 분향, “주님의 말씀입니다” 후 향과 초 4명 퇴장.
3. 예물 준비
∘ (보편지향기도 때 숯불 지핌) 보편지향기도 후 향 2명은 제단으로 나가서 대기, (예물봉헌자로부터 예물 받아 제대에 놓고 시종복사가 포도주와 물을 드린 후) 향 2명은 신부님께 나아가서 향 축성 받아 신부님께 드린 후 2보 후퇴 (신부님께서 제대 1바퀴 돌며 예물 분향 → 향잡이가 신부님께 분향 → 신자들에게 분향)
∘ 향잡이가 향 받아 제대 앞에 나갈 때 예절지기 퇴장, 향잡이는 신자들에게 3번씩 3회 분향 후 퇴장.
4. 성찬의 전례
∘ (퇴장 후 곧바로 숯을 교체하여 새로 지핌) ‘거룩하시도다’ 시작할 때 향 1명, 초 2명이 함께 제대 앞으로 가서 무릎 꿇음(향잡이는 양손에 향과 향합을 들고 나와서 곧바로 향합에 향가루를 넣고 대기)
∘ 성체거양 때 3번씩 3회 향치고, 성혈거양 때도 3번씩 3회 향 친 후 향잡이만 퇴장.
초 2명은 “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...”“아멘(성가대)” 후 시종 일어날 때 일어나서 퇴장.
* 영성체 성가 시작 때 제의방의 복사들은 적당한 위치로 나와서 영성체 후 퇴장.(성체분배 시종)
'복사 전례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(성주간) [주님수난 성지주일] - 7인복사 (1) | 2024.12.23 |
---|---|
4. (예식서) 주님 봉헌 축일 (초 축복과 행렬) (0) | 2024.12.23 |
3-1. (예식서) 주님 성탄 대축일 밤 미사 (사제용) (1) | 2024.12.22 |
2. [성체 강복] 예절 순서 (0) | 2024.12.21 |
1. 주일‧대축일 장엄미사 (6~7인 복사) (0) | 2024.12.21 |